본문 바로가기

요리

[스크랩] 차례상 차리는 법


Daum 카페

 
추석유래및 상 차리는 법
★ 추석유래및 상 제대로 차리는 법

유래

추석을 '한가위'라고도 해요.
'한'이란 크다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란 뜻입니다.
그러니까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가위'란 신라 때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신라 유리 왕 때 여자들을 두 패로 갈라서
베를 짰는데 한 달 뒤 결과를 봐서
승패를 결정했습니다.

진 편은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잔치로 갚음을 했는데 여기서 '가배'란 말이 나왔고
나중에 '가위'란 말로 변했다고 합니다.
그 후로 한가윗날 베를 짜는 풍습은
오랫동안 지켜져 내려왔습니다.


풍습

추석은 옛날부터 설날과 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꼽혔습니다.
새로 나온 과일과 곡식으로 상을 차려
차례를 지내고 산소에 성묘를 했습니다.

농사일로 바빴던 일가 친척들이 모처럼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눠 먹고 놀이도 했습니다.
특히 시집간 딸이 친정 어머니와 중간에서 만나
가져온 음식을 나눠 먹으면서 회포를 푸는
중로상봉을 하기도 했습니다.

추석은 풍성함을 감사하고 나누는 날이라
아무리 가난한 사람도 떡을 빚어 나눠 먹었습니다.
그래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란' 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놀이

전국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가 있습니다.
호남 남해안 일대의 강강술래, 전국적인 소먹이 놀이,
소싸움, 닭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줄다리기,
가마싸움 등은 풍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요즘에는 언제부터 생겼는지 불꽃놀이를 많이들 합니다.


음식

추석, 하면 뭐니 해도 송편입니다.
멥쌀가루를 뜨거운 물에 반죽해서 속에 깨나
팥, 콩, 밤 등을 넣어 반달 모양으로 빚습니다.
쪄서 찬물에 헹군 다음 참기름을 고루 바르면 완성입니다.

추석 전날 온 가족이 모여 송편을 만들죠.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아기를 낳는다고 해서
정성을 다해 빚습니다.
이 때는 추수가 끝나 새로 난 곡식과 과일 등이
풍성해 다양한 햇 음식을 먹습니다.

음식의 종류로는
송편, 토란탕, 닭찜, 배숙, 햇밤, 송이 회, 송이버섯 탕,
송이산적, 송이밥, 화양 적, 청포묵 전, 감자전,
모듬나물 부침, 삼색 전, 느타리버섯산적, 녹두부침 등이 있습니다

 

 

 

1. 추석 상 제대로 차리는 법

일반적으로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하고,
제사상 앞은 남(南), 지방 붙이는 쪽을 북(北)으로 삼습니다.
상을 놓는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湯), 넷째 줄에 적과 전, 다섯째 줄에 메(밥)와 갱(국)입니다.

소나무집

* 여기에 적힌 사항은 일반적인 사항이며, 지역이나 집안 풍습에 따라 각기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과일과 조과류 놓는 순서

  • 조율시이(棗栗枾梨) 진설법
    진설자의 왼편으로부터 조(대추), 율(밤), 시(곶감), 이(배)의 순서로 진설하고 다음에 호두 혹은 망과류(넝쿨과일)을 쓰며 끝으로 조과류(다식,산자, 약과)를 진설다.
  • 홍동백서(紅東白西) 진설법
    붉은색 과일을 동쪽(참사자 우측), 흰색과일을 서쪽(참사자 좌측)에 진설하고 그가운데 조과류인 다식, 산자, 약과 등을 진설한다.
    반찬류를 놓는 순서
  •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포(문어, 명태, 오징어 등)를 왼편에, 식혜를 오른편에 진설하며 침채(김치, 동치미 등), 숙채(불에 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 청장(간장)을 그 가운데 놓는다.
    탕을 놓는 차례
  • 어동육서(魚東肉西)라 하여 물고기 탕은 동쪽(우측), 육류탕은 서쪽(좌측)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채소, 두부 등으로 만든 소탕을 진설하되 단탕, 삼탕 등 반드시 음수(홀수)로 쓴다.
    적과 전을 놓는 차례
    적은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을 말하며 전은 기름에 튀긴 음식을 말한다.
    어동육서(魚東肉西) 진설법에 의하여 어류를 동쪽(우측)에, 육류를 서쪽(좌측)에 진설하며 그 가운데 채소, 두부를 진설한다.
    두동미서(頭東尾西)
    라 하여 어류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진설한다.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접동잔서(?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습니다.
    좌반우갱(左飯右羹) : 메(밥)는 왼쪽에, 갱(국)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남좌여우(男左女右) :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로 모십니다.

    제사상 차릴때 주의 사항!
    과실 중 복숭아는 제사에 안 쓴다.
    (복숭아는 요사스런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전해진다)
    생선 중에 '치'로 끝나는 꽁치, 멸치, 갈치, 삼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제사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현란한 색깔은 피하는 것을 원칙이다.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는다.
    설에는 밥대신 떡국을 놓으며 추석 때는 밥대신 송편을 놓아도 된다.

  • 출처 : 차례상 차리는 법
    글쓴이 : 백송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