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사의 최대 비밀 부여사
1. 원시 부여
2. 대부여
3. 북부여
북부여는 전후로 나뉘어지니 전기 북부여는 삼한조선 47세 고열가 단군의 뒤를 이어 해모수 단군께서 BCE 239년에 여신 나라 이름이다. 시조 해모수가 임술년에 웅심산에 내려와 부여 고도에서 나라를 일으켰을 때 다음 해인 계해년에는고열가 단군이 후사를 정하지 않고 퇴위하셨으니 이를 수습한 해모수 단군께서는 대부여의 이름을 고쳐 북부여라 불렀다.
하지만 북부여가 서기까지 오가가 공동 통치하는 육년간의 공화정 시대가 있었다. 오가 공화정 시대가 가져 온 큰 변화는 삼한관경체제의 완전한 붕괴다. 대단군이 부재한 상황에서 오가가 진한을 통치하게 됨으로 대단군의 간접 통치를 받고 있는 마한과 번한이 완전 독립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부여를 이어 북부여를 건국한 해모수의 명령은 진한 일역에 한정되었으니 해모수 단군은 다시 한 번 국명을 바꿔 국정 쇄신을 꾀하게 된다. 그래서 탄생한 이름이 바로 북부여다. 여기서 북부여란 해모수가 일어난 북쪽 부여를 뜻하니, 북이란 삼신오제본기의 기록처럼 천도가 일어나는 북방을 뜻한다. 또한 신시본기에 북쪽은 일출의 근본이 되는 곳이니 곧 천자가 제후들을 남면하는 곳이다.
삼한에는 북삼한과 남삼한이 있다. 북삼한이란 단군 왕검께서 건국하신 조선의 삼한관경을 뜻하며, 남삼한이란 훗날 번한의 부단군 기준이 위만에게 패하여 도망감으로 상장 탁이 마한 땅 월지에 이르러 세운 중마한을 뜻한다. 이 때 탁이 세운 마한은 마한 중심의 삼한 체제로 이루어졌으니 북쪽의 삼한과 구분하여 남삼한이라 하고, 또한 뒤에 세워진 삼한이므로 후삼한이라 불렀으니 단군 왕검께서 세운 원래의 삼한은 전삼한이 된다.
후삼한이 성립된 까닭은 삼조선 체제의 붕괴에서 비롯된다. 해모수가 군사를 일으켜 재위에 오른 것은 번한의 부단군인 기비의 힘이 컸다. 그런 까닭으로 해모수 옹립의 일등 공신인 번한 기비는 그 권한이 더욱 많아졌는데, 그 아들 기준이 부단군에 올라 한나라의 망명객 위만을 받아 주었던 것은 바로 이 때 비대해진 권한 때문이었다. 결국 기준은 본국인 해모수의 명을 끝까지 기다리지 않고 위만을 받아줌으로서 그에 의해 나라를 빼앗기게 되었으니 남삼한의 성립은 결과적으로 북삼한의 붕괴로서 이루어졌던 것이다.
북부여의 시조 해모수 단군이 공화정을 철폐하고 오가에 의해 추대를 받아 진한의 대단군에 오른 날은 BCE 232년이니 전기 북부여는 제2세 모수리, 제3세 고해사, 제4세 고우루, 제5세 해부루로 이어진다.
전기 북부여는 후기 북부여에 계승되었으니 후기 북부여는 동명국을 일컫는다. 동명국은 북부여기 하편의 기록처럼 대부여 마지막 황제인 고열가 단군의 후손인 동명제 고두막이 북부여 제4세 고우루 단군을 계승하여 제위에 오른 나라를 뜻한다. 이 동명국은 BCE 108년에 졸본 지방에서 일어났으므로 일각에서는 졸본부여 또는 동명부여라 부르기도 하는데, BC 87년에 북부여의 수도에 입성한 동명국 고두막 단군이 북부여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함으로 이를 후기 북부여라 부른다.
후기 북부여는 제5세 고두막의 아드님인 제6세 고무서 단군의 사위인 고주몽이 유명으로 제위를 물려받아 제7세 북부여 단군이 된 후BCE 37년 국호를 고구려로 바꿈으로써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고주몽 단군께서 제위에 오른 다음 해인 BCE 36년에는 박혁거세가 신라를 건국하였으니 신라의 뿌리 또한 북부여의 황실이다. 고구려국본기에는 옛 부여의 제실 황녀 파소가 아비 없이 임신함으로 도망하여 난 아들 박혁거세가 진한 6부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이 되고 서라벌을 도읍으로 삼아 진한을 개국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박혁거세가 진한의 거서간이 된 때는 13세 때이니 이 때 고주몽의 나이는 23세로 10살 차이가 난다. 그러므로 정황상 박혁거세의 아버지는 동명국의 시조 고무서 단군일 가능성이 가장 많으며, 만일 그렇지 않다면 고무서 단군의 딸이어야만 한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졸본부여왕은 딸이 셋이니 둘째 딸은 고주몽과 결혼했다함으로 첫째 딸이 파소일 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으나,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사대를 위해 북부여의 역사를 난도질하여 훼손시킴이 극심하니 이 책에서 역사의 진실을 밝혀 국통을 세우기는 불가능하다 하겠다.
여기에 덧붙여 중부여가 있으니 북부여기 상편의 다음 기록 "2세 단군 모수리 기유 3년에 해성을 평양도에 속하게 하고 황제의 아우 고진에게 해성을 수비하도록 하니 중부여 일대가 모두 북부여를 따랐으므로 양식을 주었다."처럼 중부여란 나라 이름이 아니라 해성인 북평양 일대를 가리킨다.
4. 동부여
동부여는 동명왕 고두막한의 협박에 의하여 굴복하고 물러난 전기 북부여의 제5세 황제 해부루가 고두막의 배려로 북부여의 동쪽 분릉이라고도 불리는 통하 연안의 가섭원 땅에 BCE 87년에 세운 나라다. 동부여는 가섭원 땅에 있었으므로 가섭원 부여라고도 하는데, 시조 해부루, 2세 금와, 3세 대소로 이어지며, 대소왕이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전사하게 됨으로서 망하게 된다.
그 후 대소왕의 아우가 압록곡으로 달아가 해두왕을 죽이고 그 백성을 거두어 나라를 세워 왕이 되니 그 나라 이름은 갈사라 부른다. 갈사국은 그 후 고구려 태조 무열제 융무 16년 8월에 고구려에 항복함으로 3세 47년 만에 망하고 마는데 태조 무열제는 도두를 우태로 삼아 혼춘을 식읍으로 주어 동부여후로 봉한다. 여기서 우태란 도두가 받은 벼슬이니 연타발의 딸 소서노가 전 남편인 우태와의 사이에서 비류와 온조를 낳았다고 한 삼국사기의 혹설은 거짓이다. 소서노는 고무서 단군의 딸이자 처녀로서 고주몽과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아 고구려와 백제 건국의 일등 공신이 된 여인이되 김부식의 붓장난에 의하여 재가한 상인의 딸이 되고 말았으니 역사적으로 가장 한이 많은 여인이다.
5. 서부여
6. 남부여
남부여는 백제 중흥을 꿈꾸었던 백제 성왕이 서기 523년에 백제의 이름을 바꾼 것이다. 남쪽에 있는 부여이므로 남부여라 하였다. 백제는 원래 고주몽과 소서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온조가 세운 나라다. 온조 백제는 성씨를 부여로 삼았으니 모두가 부여의 후손임을 자처한 것이다. 9천년 한민족 역사상 마지막 남은 부여인 백제는 서기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하여 사비성이 함락되어 영원히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니 그 수도 사비성은 현재의 부여다.
참고서적 : 개벽실제상황,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