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한 원리
사람이 죽으면 제사를 지낸다.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고 추모하는 뜻에서 매년 그날이 되면 제사를 지내는데, 현대의 우리들은 제사 지내는
격식에 대하여 무척 어려워한다. 그러나 제사 지내는 원리만 알면 그 순서나 상 차리는 법에 대하여 쉽게 이해를 할 것이다.
우선
우리 산 사람이 식사하는 순서부터 다시 떠올려 보면, 식사 전에 먼저 술을 한잔 마시고, 이어 식사를 하며, 마지막에 과일
같은 디저트를 먹지 않는가? 조상신이 드시는 순서도 마찬가지이고, 따라서 상 차리기도 이 순서에 따른다고 생각하면 큰
차질이 없을 듯 하다. 때문에 신위를 기준으로 해서, 가장 앞자리에 술잔을 차리고, 그 다음엔 안주 될 만한 것을
진설한다. 다음 차례가 밥 반찬이 될 것은 저절로 명확해지고, 마지막 차례는 물론 디저트 거리가 될 터이다.
이것을 제사 올리는 산 사람을 중심으로 보면 물론 순서가 거꾸로 될 것이다. 맨 앞이 디저트용 과일,
다음이 식사에 쓸 반찬, 그 다음은 술 안주가 될 음식들, 맨 안쪽이 술잔… 순이 된다.
제사의 원리는 일반 손님 대접과 별 차가 없다. 집에 손님이 오면 우선 모셔 들이고, 인사부터 하는 것은
누구나 하는 첫일. 그리고는 우선 술을 대접한다. 그러다 때가 되면 밥을 준비해 드리고,
디저트로 과일 같은 것을 내놓는다. 술, 밥, 디저트가 끝나고 나면 밥상을 치우고, 드디어 손님을
떠나 보내는 인사를 나누는 것이 전체적 순서. 제사 역시 꼭같이 진행된다고 보면 무리가 없다.
※ 조상신 모시기
더욱이 조상신은 살아 있는 사람과 달라, 지상에 우리와 함께 계시는 것이 아니라 모셔와야 제사를 드릴 수 있을 것이다.이것이 일반 손님
접대와 차이가 나는 것 중 하나. 이 절차를 `강신'(降神)이라 한다.
제사 참례자 들이 늘어선 가운데
제주가 나아가 먼저 향을 피우고, 이어 `삼제'를 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조상신을 모시는
것이고, 삼제를 하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는 행위라 한다. 삼제는 술을 반잔쯤 받 아 세번에 걸쳐 그릇에 지우는 일이다.
※ 전체 인사 드리기
이렇게 해서 조상신이 임하셨다면, 다음엔 모두가 인사를 드리는 것이 도리일 터. 이것을 전통 제례에서는
`참신'(參神)이라 부르며,
우리말로 풀면 "조상신께 인사를 올린다"는 뜻이다.
※ 술
올리기
다음은 술을 올린다. 손님이라 해도 최소 석잔은 권해야 정이 있을 듯. 그래서 인지 기제 등 여러 제사 때는 술을
석잔 올린다.
이것을 부르는 의례 용어는 `삼헌'(三獻)이다. 적잖이 어려워 보이는 말이지만, 특별한 의미는
없다. `헌'이라는 것은 헌납·공헌 등 말에서 흔히 쓰는 "드린다" "바친다"는 뜻이니, 결국 술 석잔을 올린다는 의미일
뿐이다.
첫잔은 초헌(初獻), 둘쨋잔은 아헌(亞獻), 마지막 셋째잔은 종헌(終獻)이라 이름 붙여져 있다.
첫잔 올리기, 다음 잔 올리기, 마지막 잔 올리기라는 뜻. 하지만 추석이나 설에는 한잔, 즉 한번만 올린다. 이를 `단배'
`단잔'이라 한다.
※ 권하는 말씀
올리기
하지만 음식을 그냥 드리기만 해서야 도리를 다한다기 힘들 터. 많이 잡수시라고 권하는 말씀을 곁들여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올리는 말씀을 전례에서는 `축'(祝)이라 하고, 축 읽는 절차는 `독축'(讀 祝)이라 한다.
독축은 첫잔을 올려(초헌) 놓고 하는 것이 이치에도 맞을 것이다. 축은 보통 한문으로 된 것을 쓰지만, 지금 세대에겐 합당
찮아 보인다.
읽는 사람도 모르고 듣는 사람, 초대된 조상신도 알아듣기 쉽잖기 때문이다. 마치 주문 같이 들릴 뿐이다.
그런데도 알고 보면 별다른 내용도 아니다. "제삿날이 돌아 와 술과 음식을 준비해 잔을 올리오니 잡수십시오"라는 것이 전부.
그럴 바에야 이제 차라리 한글로 그때그때 마음을 풀어 올리는 것이 더 현실적이 아닐까 생각된다. 청년 유도회에서도
진작부터 한글 축문을 제시해 놓고 있다.
추석·설 같은 명절에는 이 절차를 생략하도록 권하는 경우도 있다.
※더 권하기
술 석잔 드시기가 끝났으면, 이제 식사 하시도록 권하는 것이 순서일 터. 의례 용어로는
`유식'(侑食)이라 부르며, 풀이하면 그저
"식사를 권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잠깐! 식사를 권하려면, 그 전에 먼저, 술은 그만하면 충분한지 여쭤
보는 것이 조신 스런 대접 태도가 아니겠는가? 이래서 나온 것이 `첨작'(添酌)이 아닌가 싶다. 말
그대로, 잔에 술을 더 채우는 절차. 이를 위해 앞선 종헌 때는 잔을 반만 채워둔다.
※ 식사
올리기
이제 본격적으로 식사를 올리려면 우선 밥 뚜껑을 열어야 할 것이다.
이 절차를 ` 계반'(啓飯)이라 부른다. "밥 뚜껑을 연다"는 한자말이다.
이어 숟가락을 밥그릇에 꽂아 드려야 조상신이 자실 수 있을 터. 이것은 `삽시'( 揷匙)라는 절차이다.
이것
역시 "숟가락을 꽂는다"는 의미의 한자말일 뿐이다.
※ 식사 중 자리
피하기
손님은 음식을 자시는 동안 주인이 함께 앉아 이것저것 반찬을 권하기도 하지만, 조상신은 다르다고 한다. 자시는
것을 지켜보지 않아야 하는 것.
때문에 제상을 방에 차렸을 때는 제관들이 모두 방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려야 한다.
대청에 차렸을 때는 뜰 아래로 내려서서 자리를 피해야 한다. 하지만 단칸 방 등에선 그럴 수 없으니, 이때는
제관들이 모두 엎드려 기다리면 될 것이다. 이 절차를 `합문'(闔門)이라 한다. 문을 닫는다는 뜻. 그 시간이 3, 4분은
돼야 한다는 책도 있고, 젓가락을 세번 혹은 아홉번 두드리는 시간이면 된다고도 한다. 젓가락을 두드려 시간을 삼는 것은,
그 각각이 밥을 한 숫가락 잡수시는 시간을 의미한다고 한다.
※ 숭늉 권하기
식사를 다 드셨으면 숭늉을 올리는 것이 우리의 어른 모시는 법도. 조상신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숭늉을 올리려면 먼저 식사 자리로
제관들이 다시 돌아가야 할 것인 바, 이것을
` 계문'(啓門)이라 한다.
문을 닫고 자리를 피할 때와 반대로, 다시 문을 열고 다가 간다는 뜻일 터. 이어 숭늉을 올려야 할 참인데, 이
절차를 `헌다'(獻茶)라 한다. 차를 올린다는 뜻. 조상신이 숭늉을 마실 동안에도 2, 3분간 읍하고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돼
있다.
※ 상 정리하기
음식 자시는 일이 끝났으면 상을 정리할 차례. 수저를 내려 놓고 밥 뚜껑을 닫는 일일 것이다. 제사에서는 이
정도로써 상 정리 절차를 상징적으로 마친다. 수저 내려 놓는 일을 한자로 나타내면 `철시'(撤匙), 밥뚜껑 덮는 것은 `복반'(覆 飯)이다.
그래서 이 절차를 의례 용어로는 `철시복반'이라 한다.
※ 송별
인사
식사가 끝났으면 조상신을 이제 보내 드려야 할 터이다. 이별 인사를 올리는 것을
`사신'(辭神)이라 한다. "안녕히
가십시오, 다음에 또 모시겠습니다"는 뜻. 이 사신은 제사 참여자 모두가 함께 인사를 드리는 형식으로 행해진다.
■절하는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