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때는 바다낚시나 해양활동에 있어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갯바위, 선상(船上) 낚시인의 조과(釣果),선박의 해상 왕래, 항만 정박 시 안전성 확보,또 방파제나 제방 등 물때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따라서 물때를 잘 알고 이용하면 우리의 해양활동에 많은 도움을 받는다.바다낚시에 있어서 "물때를 모르면 고기를 못 낚는다"라는 이야기가 있듯이 첫째는 물때, 둘째로 포인트, 셋째로 채비나 기교 등의 순으로 비중을 두고 있기도 하다.지금까지의 경험담에 따르면 대체적으로 바다낚시에 좋은 물때라고 하면 1일주기의 물때에서 볼 때에는 만조 시와 간조시경에 조류가 전류 하여 썰물 또는 밀물이 시작한 후 약 2시간 사이이며 그 중에서도 밀물 때가 더 호황을 이룬다.
또 15일 주기의 물때에서 보면 소조기 (小釣期), 즉 ‘조금’을 전후하여 약 1주일간이 되며 조금의 전기보다는 조금 후인 조류가 점차 세차지는,즉 ‘물이 산다’라고 표현하는 시기로서 많은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그러나 어떤 어종은 사리를 전후해서 일어나는 거센 물을 좋아하므로 출조에 앞서 물때를 잘 알고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시기를 택해야 할 것이다.
조석 물때와 조류의 관계
조석의 간만에 따라 주기적으로 해면의 높이가 변하면 이에 수반하여 해수의 유동(流動)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현상을 조류라고 한다. 따라서 조류의 일반적인 현상은 조석과 같다.그러나 양자의 조시와 진폭(振幅:조고 및 유속)은 장소에 따라 매우 다르다.예를 들면 어떤 지점에서 조류는 간조 시부터 만조 시까지는 한쪽 방향으로 흐르다가,만조 시부터 간조 시까지는 반대방향으로 흐르며 만조 시 및 간조 시에 각각 전류(轉流) 한다. 또 어떤 장소에서는 만조 및 간조 후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류한다. 또한 어떤 장소에서는 만조 시 및 간조 시에 유속이 최대로 되고 만조 및 간조 후 약 3시간이 지나서 전류하는데 이와 같은 조류를 반속조(半續潮)라고 한다.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 남해서부 외 해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밀물 중에 그 유속이 가장 빠른 방향의 조류를 창조류(漲潮流),썰물 중에 그 유속이 최강인 방향의 조류를 낙조류(落潮流)라 하는데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보통 동쪽에서 서쪽으로,또는 지형에 따라서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며 낙조류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조차와 조류의 최강유속과의 비율은 장소에 따라 다르며 조차가 크더라도 조류가 아주 미약한 곳이 있는가 하면 조차가 그다지 크지 않는데도 조류가 강렬한 장소도 있다.그러나 일정한 장소에서는 조차가 클수록 조류의 유속도 크다.
일반적인 물때 표현 방법(음력일과 물때의 관계)과 지역에 따른 물때 명칭
고기의 먹이활동은 사실상 물의 흐름이 있어야만 활발하다 즉 물이 들거나,날 때 가장 왕성한 먹이 활동을 한다고 봐야 한다.다시 말해 음력 보름(15일)과,그믐(30일)에 남해안 지역에서는 최고의 물 때 라 한다 하지만 서해안은 이 때 물의 흐름이 너무 속도가 빨라 사실상 낚시하기가 힘들다.고로 그 지역의 현지 사정에 맞는 좋은 물 때가 각각 다르므로 지역 업체에 직접 알아본 후 낚시일정을 잡는다.
일반적인 물때 표현 방법 |
음 력 일 |
명 칭 |
1일, 16일 |
턱사리 |
2일, 17일 |
한사리 |
3일, 18일 |
목사리 |
4일, 19일 |
어깨사리 |
5일, 20일 |
허리사리 |
6일, 21일 |
한꺽기 |
7일, 22일 |
두꺽기 |
8일, 23일 |
선조금 |
9일, 24일 |
앉은조금 |
10일, 25일 |
한조금 |
11일, 26일 |
한매 |
12일, 27일 |
두매 |
13일, 28일 |
무릅사리 |
14일, 29일 |
배꼽사리 |
15일, 30일 |
가슴사리 | |
인천 등 일부지역(7 물때식) |
남해 등 타지역(8 물때식) |
음 력 일 |
명 칭 |
음 력 일 |
명 칭 |
1일, 16일 |
일곱매 |
1일, 16일 |
여덟물 |
2일, 17일 |
여덟매 |
2일, 17일 |
아홉물 |
3일, 18일 |
아홉매 |
3일, 18일 |
열 물 |
4일, 19일 |
열 매 |
4일, 19일 |
열한물 |
5일, 20일 |
한꺽기 |
5일, 20일 |
열두물 |
6일, 21일 |
두꺽기 |
6일, 21일 |
열세물 |
7일, 22일 |
아 조 |
7일, 22일 |
열네물 |
8일, 23일 |
조 금 |
8일, 23일 |
조 금 |
9일, 24일 |
무 시 |
9일, 24일 |
한 물 |
10일, 25일 |
한 매 |
10일, 25일 |
두 물 |
11일, 26일 |
두 매 |
11일, 26일 |
세 물 |
12일, 27일 |
세 매 |
12일, 27일 |
네 물 |
13일, 28일 |
네 매 |
13일, 28일 |
다섯물 |
14일, 29일 |
다섯매 |
14일, 29일 |
여섯물 |
15일, 30일 |
여섯매 |
15일, 30일 |
일곱물 | | |
|
|

|
|
|
자료협찬:국립해양조사원 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