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요수 인자요산 (知者樂水 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註]<樂>은 음악이라는 명사일때는 <악>으로 읽고,
즐겁다는 형용사일때는 <낙>으로 읽고,
좋아한다는 동사일때는 <요>라고 읽는다.
산이 좋고 물이 좋은데 별도의 이유가 있을 수 없다. 그러
나 따지고 보면 이유가 없는 것이 아니다. 孔子께서는 "지
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智者樂水)하고, 어진 사람은 산
을 좋아(仁者樂山)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움직(知者動)이
고, 어진 사람은 고요(仁者靜)하다. 지혜로운 사람은 즐거
워(知者樂)하고, 어진 사람은 장수(仁者壽)한다."고 말씀하
셨다.
朱子는 이 말을 풀이하여 "지혜로운 사람은 사리에 통달하
여 두루 통하고 막힘이 없는 것이 물과 같은 점이 있으므
로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의리에 편안하여 중후하여
옮기지 않는 것이 산과 같은 점이 있는 까닭에 산을 좋아
한다는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漢나라 때 劉向의 《說苑》에 보면 이런 내용이 실려 있
다.
子貢이 물었다. "선생님! 군자가 큰 강물을 보면 반드시 바
라보는 것은 어째서 입니까?"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대저
물을 군자는 德에 비유한다. 두루 베풀어 사사로움이 없으
니 德과 같고, 물이 닿으면 살아나니 仁과 같다. 그 낮은 데
로 흘러가고 굽이치는 것이 모두 순리에 따르니 義와 같
고, 얕은 것은 흘러가고 깊은것은 헤아릴 수 없으니 智와
같다. 백길이나 되는 계곡에 다달아도 의심치 아니하니 勇
과 같고, 가늘게 흘러 보이지 않게 다다르니 살핌과 같으
며, 더러운 것을 받아도 사양치 아니하니 포용함과 같다.
혼탁한 것을 받아들여 깨끗하게 하여 내보내니 사람을 착
하게 변화시킴과 같다. 그릇에 부으면 반드시 평평하니 正
과 같고, 넘쳐도 깎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법도와 같고, 만
갈래로 구비쳐도 반드시 동쪽으로 꺾이니 의지와 같다. 이
런 까닭에 군자는 큰 물을 보면 반드시 바라보는 것일 뿐
이니라."
원래 《荀子》〈宥坐〉에 실려 있던 것을 부연한 내용인
데, 물의 여러 속성을 들어 인간이 지녀야 할 삶의 덕목과
견주었다. 물은 모든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사사로이 경
중을 두어 차별하지 않으니 德 있는 군자의 모습을 상기시
킨다. 물은 만물에 생명을 불어 넣어 주고, 언제나 낮은 곳
에 처하며 골짜기를 만나면 거세게 흘러가고 평지를 만나
면 천천히 흘러간다. 순리를 지키는 義의 삶이 아닌가. 얕
은 것은 흘러가도 깊은 것은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으니
이는 바로 智慧의 모습이다. 백길 계곡에 다달아도 의심치
않고 폭포가 되어 떨어지니 참 勇氣를 예서 배운다. 가늘
게 흘러 눈에 보이지 않아도 마침내 강물에 다달으니 목표
를 정해 놓고 늘 省察해 마지 않는 군자의 자태가 여기 있
다. 아무리 더러운 것도 물은 모두 받아들여 이를 정화시
키니, 군자가 소인을 감싸 안는 모습이 아닌가. 일찍이 老
子도 《道德經》에서 `上善若水`라 하여 으뜸 가는 善을
물에 견준 일이 있다. 물은 언제나 낮고 더러운 곳에 처하
면서 만물을 이롭게 하므로, 노자는 물에서 `柔弱謙下`의
교훈을 읽은 것이다. 또 劉向은 계속해서 智者樂水와 仁者
樂山의 이유에 대해 부연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仁者樂山
의 변은 다음과 같다.
"대저 어진 자는 어째서 산을 좋아합니까?" "산은 높으면
서도 면면히 이어져 만민이 우러러 보는 바이다. 초목이
그 위에서 생장하고, 온갖 생물이 그 위에 서 있으며, 나는
새가 거기로 모여들고, 들짐승이 그곳에 깃들이며, 온갖
보배로운 것이 그곳에서 자라나고, 기이한 선비가 거기에
산다. 온갖 만물을 기르면서도 싫증내지 아니하고 사방에
서 모두 취하여도 한정하지 않는다. 구름과 바람을 내어
천지 사이의 기운을 소통시켜 나라를 이룬다. 이것이 어진
사람이 산을 좋아하는 까닭이다."
우뚝 솟은 산은 만민이 우러러 본다. 온갖 날짐승 들짐승
'♣벼룩시장♣' Related Articles
|